728x90
반응형

자료 정리 25

[세금] 금융소득 종합과세란?

금융소득이란?다양한 소득이 포함되는데, 예적금, 펀드수익, 주식 배당금, ETF 분배금 등 다양한 금융상품에서 발생하는 소득을 의미한다. 만약 1년 동안 금융소득이 2,000만 원이 초과한 경우 종합과세 대상이 된다. 즉, 2,000만 원 초과로 걷어들인 수익에 대한 세금을 내야 한다는 것이다.종합소득세를 추가로 부과하는 제도인데, 흔히들 '종소세'라고 불린다.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요건은?연간 금융 소득이 2,000만 원 초과하는 개인이다. 우리가 은행에 든 예금, 적금의 이자, 주식 투자에서 발생하는 배당금, 분배금 등이 2,000만 원을 넘어간다면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된다. 대상자 여부를 가장 정확하게 알 수 있는 방법은 종합소득세 신고하라는 안내문을 받아보는 것이다.국세청에서 5월 초 신고 안..

자료 정리 2024.12.23

[ETF] 미국 ETF 직투 vs 국내 상장 해외 ETF 세금 비교

미국 ETF에 직접 투자하는 것과 국내 상장 미국 ETF에 투자 시발생하는 세금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  미국 ETF 직접 투자ex) VOO, QQQ 등국내 상장 미국 ETF 투자ex) TIGER S&P500, ACE 나스닥100 등수익1인당 1년 양도차익 250만 원 초과시22% 세금 부과매매 차익의 15.4% 부과250만 원 이하비과세38만 5천 원~833만 원 이하128만 원128만 원833 ~ 2000만 원 이하128만 원 + 매매차익 * 22%128만 원 + 매매차익 * 15.4%2000만 원 이상매매차익 - 250만 원 * 22%최소 385만 원금융소득 종합과세로 인한 변동 양도차익의 경우미국 직투의 경우 1인당 1년 동안 250만 원까지의 양도차익은 비과세로 세금을 내지 않는다.이후 2..

자료 정리 2024.11.11

[ETF] ETF 세금_직투편(해외편)

오늘은 해외에 직접 ETF 투자할 때 알아야 할 세금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ETF 주식처럼!, 세금은 펀드처럼! ETF의 세금 체계는 주식보다는 펀드에 가깝다.* 하지만 ETF를 팔 때는 증권거래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ETF 투자에서는 수익이 발생한 때에만 세금이 발생한다.즉, 매매차익과 분배금에 대해서만 과세한다. 매매차익은 ETF를 사고팔아 발생한 수익을 뜻하고, 분배금은 주식의 배당금과 비슷한 개념이다.   SPY, VOO, QQQ, SCHD 등해외 ETF 직접 투자의 경우 매매 차익에 대해서 양도소득세 22%가 붙는다.하지만 매매차익 250만 원까지는 공제해 주기 때문에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된다.(1인당 1년 기준)   예를 들어A 종목을 매도하여 500만 원의 수익을 봤고,B 종목을 매도..

자료 정리 2024.11.07

[ETF] ETF 세금_국내편

오늘은 ETF 투자할 때 알아야 할 세금에 대해 정리해 보고자 한다.ETF 주식처럼!, 세금은 펀드처럼! ETF의 세금 체계는 주식보다는 펀드에 가깝다. 만약 ‘삼성전자’ 주식을 매도하면 이익 여부와 관계없이 증권거래세를 내게 된다.* 하지만 ETF를 팔 때는 증권거래세가 부과되지 않는다.  ETF 투자에서는 수익이 발생한 때에만 세금이 발생한다. 즉, 매매차익과 분배금에 대해서만 과세한다. 매매차익은 ETF를 사고팔아 발생한 수익을 뜻하고, 분배금은 주식의 배당금과 비슷한 개념이다.  ETF의 종류에 따라 매매차익과 분배금에 대한 세율도 또 다르다.  ETF의 세금 투자 자산과 기간에 따라 달라진다.과세 방식에 따라 분류한다면 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주식형 ETF와 그 외 모든 ETF 두개로 나뉜다. 국..

자료 정리 2024.10.28

[ETF] ETF 수수료(총보수&실부담비용) 확인하는 방법

ETF 수수료인 총보수와 실부담비용을 확인하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첫 번째로는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에서 확인하는 방법이다.https://dis.kofia.or.kr/websquare/index.jsp?w2xPath=/wq/main/main.xml   금융투자협회 전자공시 홈페이지에서 왼쪽 상판 펀드공시를 클릭한다.    그러면 위와 같은 세부 메뉴창이 나오는데 여기서 오른쪽에 있는 '펀드별 보수비용비교'를 클릭한다.    펀드별 보수비용비교에서 찾고자 하는 ETF를 펀드명 칸에 적어 검색한다. 오늘은 ACE 미국S&P500을 찾아보려고 하는데이상하게 미국S&P500이라고 치면 나오지 않는다..이럴 땐 미국 혹은 500 등 주요 키워드를 치면 검색이 된다.  한국투자에서 운용하는 ACE 미국S&P500..

자료 정리 2024.10.25

[ETF] ETF 수수료(총보수, 실부담비용)

ETF 투자 시 드는 수수료 중 가장 많이 접하는 것이 바로 총보수율이다. 총보수율이란 ETF 상품을 운용하면서 들어가는 비용으로ETF 운용사가 먼저 부담하고 투자자에게 청구 된다. 총보수율을 구성하고 있는 것은 보통 4가지인데 첫째, 운용보수ETF는 펀드에서 만든 상품으로 기본적으로 펀드의 운용 보수가 들어가는데 자산 운용사가 ETF 포트폴리오를 유지하기 위해 들어가는 비용을 투자자에게 부담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ETF 운용보수율 계산 방법은 아래와 같다. 운용보수율(%) = ETF 운용비용 / ETF 총 자산가액 ETF 운용보수는 자산운용사의 ETF 운용 비용을 전체 ETF 자산가액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ETF 운용보수 계산 방법은 아래와 같다. 운용보수 = 주가x운용보수율x보유기간 예를 들어 주가가..

자료 정리 2024.10.24

[ETF] S&P 500 국내투자편(한국판 S&P500 비교)

한국 계좌를 통해 미국 S&P500 지수에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은국내상장 해외ETF에 투자하는 방법이다. 현재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기본 ETF로는 총 TIGER, ACE, RISE, SOL, KOSEF, PLUS, HANARO 총 7개가 있다.(TR과 헷지상품은 제외하였음) 이중 순자산총액이 1,000억 원이 넘는 것은 TIGER, ACE, RISE, SOL 이렇게 4개이다 그래서 이번에는 6개중 순자산총액이 1,000억 이상인 4개를 비교해 보려 한다. TIGER 미국S&P500ACE 미국S&P500RISE 미국S&P500SOL 미국S&P500상장일2020.08.072020.08.072021.04.092022.06.21운용사미래에셋한국투자KB자산운용신한자산운용순자산총액47,314억12,983..

자료 정리 2024.10.13

[ETF] S&P 500 직투편

미국의 S&P 500에 투자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오늘 정리할 이야기는 미국 증시에 직접 투자하는 방법이다. S&P 500지수를 기초지수로 하는 ETF는 SPY, IVV, VOO, SPLG 총 4개이다. 각각 기본적인 정보를 정리해 본다면 이렇다. 출처(etfcheck.co.kr) SPYIVVVOOSPLG상장일1993.01.222000.05.152010.09.072005.11.08운용사SPDR State Street Global AdvisoriSharesVanguardSPDR State Street Global Advisor순자산총액$ 551,471.2M$ 517,478.8M$ 508,466.9M$ 45,123.4M현재가$ 559.09$ 562.71$ 513.84$ 65.75최근 60일 평균거래량5,1..

자료 정리 2024.09.13

S&P 500이란?

S&P 500 지수란? 미국 시장을 대표하는 S&P 500, 나스닥100, 다우지수 3대 지수 중 하나로세계 3대 신용평가 기관 중 하나인 스탠다드 앤드 푸어스(S&P)가 발표하는 주가지수를 의미한다. 미국에 상장된 시가총액 상위 500개 기업의 주식들은 모아서 하나의 지수로 만들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한다. 우리가 많이 알고 있는 매그니피센트 세븐인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구글(알파벳), 아마존, 메타, 테슬라도 S&P 500 지수에 포함된다. S&P 500에 포함된 기업들은 미국 전체 주식시장의 80%를 차지 하고 있다. 따라서, S&P 500 지수에 투자한다는 것은 미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기업에 투자한다는 의미이며,즉 미국 시장의 전반적인 흐름을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는 지수이다. 202..

자료 정리 2024.09.07

[ETF] 한국판 SCHD 비교

한국판 SCHD 비교 SCHD를 투자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미국 주식 시장을 통해 직투(직접투자)하는 방법도 있지만,한국 계좌를 통해 한국판 SCHD를 투자하는 방법도 있다. SCHD 직투의 경우 세전 배당금에서 15%의 배당소득세를 떼고 들어오는 반면일반 계좌에서는 15.4%의 배당소득세를 떼고 들어온다. 먼저 (H) 환노출이 없는 헷지 상품을 제외하면 현재 4개의 운용사에서 상품을 운용하고 있다.한국투자증권에서 운용 중인 ACE 미국배당다우존스삼성자산운용에서 운용 중인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신한자산운용에서 운용 중인 SOL 미국배당다우존스미래에셋에서 운용 중인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이렇게 4가지가 있다. ACE KODEXSOLTIGER상장일2021.10.212024.08.132022.11.15..

자료 정리 2024.08.2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