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CHD 15

24년 12월 투자 현황 및 2024년 결산.

2024년 12월 투자 현황 정리 & 2024년 결산. 12월 2일과 31일 종가 기준의 변동이다. S&P 500 지수는6,047.15에서 -165.52(-2.74%) 감소한 5,881.63으로 마무리하였고, 나스닥의 경우19,403.95에서 -93.16(-0.48%) 감소한 19,310.79로 마무리하였다. 환율의 경우1379.30원에서 +82.40(+5.91%) 증가한 1477.50원으로 마무리하였다. 마지막 날인 31일에 S&P500과 나스닥이 더 하락하면서 장이 마무리 되었고,환율역시 30일대비 상승하였다. 이에 따라 보유한 ETF도 변동이 있었다. 역시 종가 기준 12월 2일과 31일의 차이을 본다면,보유하고 있는 ETF의 경우는 아래와 같다. ACE S&P 500 ETF의 경우21,2..

투자 일지 2025.01.01

24년 11월 투자 현황.

11월 1일과 29일 종가 기준의 변동이다.   S&P 500 지수는5,728.80에서 +303.58(+5.30%) 증가한 6,032.38으로 마무리하였고, 나스닥의 경우18,239.92에서 +978.25(+5.36%) 증가한 19,218.17로 마무리하였다. 환율의 경우1379.30원에서 +15.40(+1.12%) 증가한  1394.70원으로 마무리하였다.  이에 따라 보유한 ETF도 변동이 있었다.  역시 종가 기준 11월 1일과 29일의 차이을 본다면,보유하고 있는 ETF의 경우는 아래와 같다. ACE S&P 500 ETF의 경우19,835에서 +1275원(+6.43%) 증가한 21,110원으로 마감하였다. ACE 나스닥 100의 경우21,055원에서 +1165원(+5.53%) 증가한 22,220원..

투자 일지 2024.12.05

24년 10월 투자 현황.

10월 2일과 31일 종가 기준의 변동이다.  S&P 500 지수는5,708.75에서 -3.3(-0.06%) 감소한 5,705.45으로 마무리하였고, 나스닥의 경우17,910.36에서 +184.79(+1.03%) 증가한 18,095.15로 마무리하였다. 환율의 경우1306.90원에서 +76.4(+5.85%) 증가한  1383.30원으로 마무리하였다.   이에 따라 보유한 ETF도 변동이 있었다.  역시 종가 기준 10월 2일과 31일의 차이을 본다면,보유하고 있는 ETF의 경우는 아래와 같다. ACE S&P 500 ETF의 경우18,879에서 +1206원(+6.93%) 증가한 20,085원으로 마감하였다. ACE 나스닥 100의 경우19,882원에서 +1478원(+7.43%) 증가한 21,360원으로 마..

투자 일지 2024.11.02

24년 9월 투자 현황

24년 9월 투자 현황. 9월 3일과 30일 종가 기준의 변동이다.  S&P 500 지수는 5,528.93에서 233.55(+4.22%) 증가한 5,762.48으로 마무리하였고, 나스닥의 경우 17,136.30에서 1052.87(+6.14%) 증가한 18,189.17로 마무리하였다. 환율의 경우 1334.80원에서 15.2(-1.14%) 감소한  1319.60원으로 마무리하였다.(환율은 9월2일과 9월 30일 비교하였음)   이에 따라 보유한 ETF도 변동이 있었다.   역시 종가 기준 9월2일과 30일의 차이을 본다면,보유하고 있는 ACE S&P 500 ETF의 경우19,020에서 -115원(-0.6%) 감소한 18,905원으로 마감하였다. ACE 나스닥 100의 경우20,010원에서 -45원(-0.2..

투자 일지 2024.10.09

24년 8월 투자 현황

24년 8월 투자 일지.  8월 1일과 31일 종가 기준  지수 S&P 500는 5480.25에서 180.75(+3.3%) 증가한 5661.00으로 마무리하였고, 나스닥의 경우 19593.25에서 599.75(+3.15%) 증가한 19623.00로 마무리하였다. 8월 초에는 급격한 하락이 있었지만 이후 다시 조금씩 성장하여월말에는 월초보다 상승한 한 달이었다.  이에 따라 보유한 ETF도 변동이 있었다. 역시 종가 기준 8월1일과 31일의 차이는 보유하고 있는ACE S&P 500 ETF의 경우19,080에서 220원(-1.15%) 감소한 18,860원으로 마감하였다. ACE 나스닥 100의 경우20,350원에서 500원(-3.83%) 감소한 19,850원으로 마감하였다.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의 경우..

투자 일지 2024.09.02

[ETF] 한국판 SCHD 비교

한국판 SCHD 비교 SCHD를 투자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미국 주식 시장을 통해 직투(직접투자)하는 방법도 있지만,한국 계좌를 통해 한국판 SCHD를 투자하는 방법도 있다. SCHD 직투의 경우 세전 배당금에서 15%의 배당소득세를 떼고 들어오는 반면일반 계좌에서는 15.4%의 배당소득세를 떼고 들어온다. 먼저 (H) 환노출이 없는 헷지 상품을 제외하면 현재 4개의 운용사에서 상품을 운용하고 있다.한국투자증권에서 운용 중인 ACE 미국배당다우존스삼성자산운용에서 운용 중인 KODEX 미국배당다우존스신한자산운용에서 운용 중인 SOL 미국배당다우존스미래에셋에서 운용 중인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이렇게 4가지가 있다. ACE KODEXSOLTIGER상장일2021.10.212024.08.132022.11.15..

자료 정리 2024.08.28

[ETF] 한국판 SCHD란 무엇인가?

한국판 SCHD란미국의 SCHD를 벤치마칭해서 런칭한 국내상장 해외 ETF이다.원조는 미국의 SCHD이지만 거의 비슷하게 만든 복제품(?)인 셈이다. 미국에 있는 ETF를 한국에서 거의 똑같이 투자할 수 있도록 만든 ETF이다.상장한지 10년이 지난 미국의 SCHD가 주가 성장과 배당 성장을 꾸준히 해왔기 때문에인기가 급성장한 이유에 한국 운용사에서도 활용한 것 같다. 덕분에 환전 수수료를 들며 미국 달러로 환전하지 않아도 한화로 미국의 SCHD를 투자할 수 있게 됐다. 원조 SCHD VS 한국판 SCHD1. 최근 1년 수익률  먼저 최근 1년 수익률을 비교해 본다면,환율과 구성종목과 비중 크기, 괴리율 등 다양한 요인으로 차이가 있긴 하지만이 정도의 차이는 거의 미묘하다고 볼 수 있고, 차트의 모양도 ..

자료 정리 2024.08.20

[ETF] SCHD란 어떤 ETF인가?

SCHD란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의 약자이다.미국의 우량 기업 중에서도 안정적인 배당을 지급하는 상위 10개 기업에 투자하는 상품이다.정기적으로 배당금을 지급하며 지급하는 금액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운용사Charles Schwab시가총액[ 2024년 8월 12일 기준]$ 568억 148만 7693 달러₩ 77조 8,293억 9,843만 6,948원상장일2011년 10월 20일총보수0.06%기초지수Dow Jones U.S. Dividend 100 Index (다우존스 미국 배당 100 인덱스)배당 지급 주기분기배당 [3, 6, 9, 12월] SCHD 투자기업 선정 기준1. 10년 연속 배당 증가 *리츠 제외↓2. 배당수익률 상위 50% 선정↓3. 채무 부담, 수익성, 배..

자료 정리 2024.08.13

24년 7월 배당 결산

24년 7월 배당 결산이번 7월은 올해 중 가장 많은 배당금이 들어왔다.퇴직연금 DC형이 총 배당금의 80%가 들어온 만큼현재 운용 중인 계좌 중 가장 규모가 크다2~3년 정도는 걸릴 것 같지만 앞으로는 연저펀과 ISA계좌의 비중이DC형을 넘길 수 있도록 꾸준히 적립식으로 투자할 예정이다. 7월 배당금 받은 계좌DC형(80%)ACE 미국S&P500      18,300원ACE 미국배당다우존스      13,992원KODEX 인도Nigty50      2,665원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      1,350원 연저펀(12%)ACE 미국S&P500      2,340원ACE 미국나스닥100      990원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2,214원 ISA(8%)ACE 미국S&P500      ..

배당 일지 2024.08.07

24년 7월 투자 현황

24년 7월 투자 결과 일지.  7월 첫 날인 1일과 31일 종가 기준  지수 S&P 500는 5475.09에서 47.21(0.86%) 증가한 5522.3으로 마무리하였고, 나스닥의 경우 17879.3에서 279.9(-1.57%) 감소한 17599.4로 마무리하였다. 7월은 미국의 전체 지수를 상승하였지만,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하락하였다. 7월 중순까지는 상승이었지만 중순부터S&P 500과 나스닥 모두 현재까지 하락 중이다.  이에 따라 보유한 ETF도 변동이 있었다. 역시 종가 기준 1일과 31일의 차이는 보유하고 있는ACE S&P 500 ETF의 경우19,245에서 555원(-2.88%) 감소한 18,690원으로 마감하였다. ACE 나스닥 100의 경우20,859원에서 799원(-3.83%) 감소한..

투자 일지 2024.08.0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