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소득이란?
다양한 소득이 포함되는데, 예적금, 펀드수익, 주식 배당금, ETF 분배금 등
다양한 금융상품에서 발생하는 소득을 의미한다.
만약 1년 동안 금융소득이 2,000만 원이 초과한 경우 종합과세 대상이 된다.
즉, 2,000만 원 초과로 걷어들인 수익에 대한 세금을 내야 한다는 것이다.
종합소득세를 추가로 부과하는 제도인데, 흔히들 '종소세'라고 불린다.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요건은?
연간 금융 소득이 2,000만 원 초과하는 개인이다.
우리가 은행에 든 예금, 적금의 이자, 주식 투자에서 발생하는 배당금, 분배금 등이
2,000만 원을 넘어간다면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된다.
대상자 여부를 가장 정확하게 알 수 있는 방법은 종합소득세 신고하라는 안내문을 받아보는 것이다.
국세청에서 5월 초 신고 안내문을 발송하니 참고하면 된다.
금융 소득은 개인별로 합산하여 계산된다.
나의 금융 소득이 3,500만 원이 발생했다면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가 된다.
하지만 만약 배우자, 자녀가 있을 경우 나 2,000만 원 배우자 1,500만 원 나눈다면,
둘 다 2,000만 원이 초과하지 않았기 때문에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가 되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세금 부담을 피하기 위해 가족 명의로 금융자산을 분산시키는 전략이 사용되기도 한다.
금융 소득이 2,000만 원 이하인 경우라면 대상에 해당되지 않고,
금융기관에서 원천징수로 세금이 자동납부되며, 별도의 신고는 필요하지 않다.
대상 기간
과세대상 기간은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로 한 해 동안 발생한 금융 소득을 합산하여 판단한다.
매년 말까지 금융 소득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전문가와 상의해 세금을 대비하는 것이 좋다.
금융소득 총액 확인 방법
매년 금융소득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국세청 홈택스에서 할 수 있다.
국세청 홈택스에서 발행되는 금융 소득 원천징수 내역을 통해 이자 및 배당소득을 확인할 수 있다.
계산 방법
금융소득 종합과세는 연간 금융소득 2,000만 원을 초과하는 금액에 대해 소득세가 부과된다.
소득세법에 따라 누진세율이 6%~45%가 적용된다.
계산 절차
①연간 이자와 배당을 합한 총 금융소득을 계산.
②2,000만 원을 초과하는 금액을 산출.
③초과 금액에 대해 소득세율을 적용하여 세금을 계산.
과세표준 구간
|
세율
|
누진공제
|
1,400만원 이하
|
6%
|
-
|
1,400만원 초과 5,000만 이하
|
15%
|
126만 원
|
5,000만원 초과 8,800만 이하
|
24%
|
576만 원
|
8,800만원 초과 1억 5,000만 이하
|
35%
|
1,544만 원
|
1억 5,000만원 초과 3억원 이하
|
38%
|
1,994만 원
|
3억원 초과 5억원 이하
|
40%
|
2,594만 원
|
5억원 초과 10억 원 이하
|
42%
|
3,594만 원
|
10억 원 초과
|
45%
|
6,594만 원
|
예를 들어
금융소득이 총 5,000만 원일 경우 2,000만 원을 제외한 3,000만 원에 대해 세금이 적용된다.
5,000만 원(총 금융소득) - 2,000만 원(원천징수) = 3,000만 원.
위에 표에서 3,000만 원은 15% 세율이 적용하면 450만 원이기 때문에 450만 원을 세금을 납부하면 된다.
만약 원천징수 2,000만 원을 제외한 금융소득이 9,000만 원이라면
9,000만 원에 대해 35%(8,800만 초과~1억 5,000만 구간) 전부 내는 것이 아니라
1,400만 원까지는 6%
1,400만 원 ~ 5,000만 원까지는 15%
5,000만 원 ~ 8,800만 원까지는 24%
8,800만 원 ~ 9,000만 원까지는 35%의
세율이 각각 적용된다

1,400만 원까지 6%인
84만 원
+
1,400만 원 ~ 5,000만 원 구간인 3,600만 원에 대한 15%인
540만 원
+
5,000만 원 ~ 8,800만 원 구간인 3,800만 원에 대한 24%인
912만 원
+
8,800만 원 ~ 9,000만 원 구간인 200만 원에 대한 35%인
70만 원
총 1606만 원을 납부하면 된다.
각각 구간별로 계산하려면 헷갈리고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누진공제'를 알려주고 있다.
9,000만 원은 8,800만 원 ~ 1억 5,000만 원 구간에 속하기 때문에 세율이 35%이다.
9,000만 원의 35%는 3150만 원인데
여기서 누진공제액인 1544만 원을 빼면
1606만 원으로 똑같이 나온다.
즉, 총 금융소득 - 2,000만 원하여 나온 금액의 구간을 확인하여 세율을 곱하여 누진공제액을 빼면 쉽게 계산할 수 있다.
종합과세 신고 방법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는 다음 해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한다.
신고는 국세청 홈택스에서 신청 가능하며 필요하다면 세무사 또는 회계사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신고는 반드시 5월 31일까지 완료해야 하며, 만약 기한 내 신고를 하지 않으면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다!
'자료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미국 ETF 직투 vs 국내 상장 해외 ETF 세금 비교 (1) | 2024.11.11 |
---|---|
[ETF] ETF 세금_직투편(해외편) (2) | 2024.11.07 |
[ETF] ETF 세금_국내편 (9) | 2024.10.28 |
[ETF] ETF 수수료(총보수&실부담비용) 확인하는 방법 (0) | 2024.10.25 |
[ETF] ETF 수수료(총보수, 실부담비용) (5) | 2024.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