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정리

[ETF] ETF 지식_배당률, 배당성향, 배당성장률

마캐프 2024. 7. 17. 14:41
728x90
반응형

 

 

 

배당률이란

순가치 대비 얼마나 배당금을 지급했는지에 대한 비율이다.

 

계산하는 방법은

배당률 = 배당금/순자산가치 x 100.

 

예를 들어 배당주로 구성된 ETF의 1주의 순자산가치가 10,000원이이고 연 배당금을 100원 지급했다면,

배당율은 1%이다. 

하지만 세금 15.4%를 제외하고 들어오기 때문에 실제로는  86.4원이 들어오게 된다.

 

배당률이 올라가는 경우

 

1. 배당금이 증가한 경우

A와 B ETF의 주가가 같은 10,000원인 경우 A는 연 배당금이 1%인 100원이지만

B의 경우는 배당률이 2%이기 때문에 200원을 지급받게 된다.

따라서 배당금이 증가하면 당연히 배당률이 증가하게 된다.

 

 

2. 주가의 상승으로 나의 평단가가 낮아진 경우

같은 상품일 때 평단가에 따라 배당률이 달라진다.

평단가 20,000원인 A의 경우 배당금 400원으로 배당률이 2%이지만,

평단가 10,000원인 B의 경우 같은 400원이지만 배당률은 4%가 된다.

 

 

따라서 배당주는 장기투자가 승리한다는 이유 바로 여기서 나오는 말이다!

장기투자로 인해 배당 수익률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현재 10,000원인 ETF가 만약 10년 후 100,000원이 됐고, 배당률이 1%로 1,000원을 지급했다고 가정해 보면

나의 평단가는 10,000원인데 1,000원을 배당금으로 받은 것이 되니 나의 배당률은 10%가 되는 것이다.

 

이런 배당금의 복리의 효과가 워런 버핏이 말하는 것이다.

특히 '워런 버핏과 코카콜라'만 검색해 보더라도 쉽게 알 수 있는 내용이다.

주식이 지속적으로 우상향해야 한다는 조건이 필요하지만 20~30년 뒤에도 믿을 수 있는 기업이라면

미래에 받는 배당률은 상상을 초월할 것이다.

 

 

배당성향

기업이 벌어들인 당기순이익 중에 투자자에게 돌아가는 배당금의 비율을 의미.

계산 방법은

배당성향 = 주당 배당금/당기순이익 x 100.

 

예를 들어 기업이 당기순이익으로 100억을 벌고 50억을 배당금으로 지급했다면

배당성향은 50%이 된다.

(50억/100억 x 100 = 50)

 

하지만

배당성향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

 

기업이 이익을 기업의 성장을 위해 재투자하지 않고 나눠주기 때문에 성장에 소극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순이익이 1억 원이고 배당금이 5천만 원일 경우에도 배당성향이 50%인데,

순이익이 1억 원인 기업이 좋은 기업이라고 하기엔 당시 시점으로는 다소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배당성장률

배당금이 작년 대비 얼마나 올랐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계산 방법은

현재 연도 배당액-전년도 배당액 / 전년도 배당액 x 100.

 

예를 들어 올 한 해 총 1500원을 지급하였고, 작년에는 1000원을 지급하였으면

1500-1000/1000 x 100 = 50

배당성장률은 50%인 것이다. 

배당성장률이 0 이상인 경우 지속적으로 배당을 증가시키고 있다는 것이고,  

반대로 0 이하인 경우엔 배당을 줄이거나 중단하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즉, 배당성장률이 0 이상인 경우에는 ETF에 구성된 기업들이 안정적이고 성장하는 수익을 얻고 있으며, 앞으로도 투자자가에게 배당금을 지급할 것이고, 반대로 0 이하인 경우에는 기업들의 수익성이 하락하거나 불안정하다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하지만 ETF의 경우 다양한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당성장률이 0 이상이어도 구성 기업 중 어느 기업은 배당을 늘렸으나 다른 기업은 배당은 줄였을 수 있다.

 

배당률도 중요하지만 장기투자라면 배당성장률이 더욱 중요하다!

 단기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배당률이지만

장기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배당성장률이 좋은 ETF에 투자하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

 

즉, 미래보다는 지금 당장의 현금흐름이 중요하다면 배당률이 높은 고배당주를

지금보다는 미래를 위해 현금흐름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면 배당성장률을 우선으로 보면 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