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정리

[ETF] 배당락, 배당기준일은?

마캐프 2024. 7. 24. 08:30
728x90
반응형

 

 

 

배당락이란?

배당이 떨어져 나갔다는 것을 의미.

 

즉, 이번 사업 기간의 수익에 대한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소멸 혹은 자격이 없어졌다.

(ETF의 경우 분배락이 맞는 표현이지만 흔히 배당락이라고 부름.)

 

 

배당기준일이란?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주주를 확정하는 날.

 

즉, 누구에게 배당을 지급할지 결정되는 날이다.

(ETF의 경우 분배기준일이 맞는 표현이지만 흔히 배당기준일이라고 부름.)

 

일반적으로 해당 기간의 마지막 영업일이 배당기준일이 된다.

월매당의 경우 매달 마지막 영업일, 분기 배당의 경우 분기 마지막 달의 마지막 영업일이 배당기준일이 된다.

 

 

그렇다면 언제까지 매수를 해야 배당을 받을 수 있을까?

 

 

 

ETF를 매수해도 실질적으로 보유하는 데까지 +2 영업일이 걸리기 때문에

배당기준일 -2 영업일에는 매수하여 보유해야 한다.

 

예를 들면

7월의 경우 마지막 영업일이 31일이기 때문에 배당기준일을 7월 31일이며,

영업일 -2일인 7월 29일에는 해당 ETF를 매수-체결되어 보유하고 있어야 7월 배당금을 받을 수 있다.

 

배당기준일 하루 전인 30일은 배당락일이기 때문에

이날 매수-체결되어 보유하고 있어도 7월 배당금은 받을 수 없다.

 

그렇다면 7월 29일에 매수-체결되어 보유했다가,

7월 30일에 매도하면 7월 배당금을 받을 수 있을까?

 

받을 수 있다!

 

7월 29일에 보유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해당 ETF를 보유하고 있는 주주였기 때문이다.

 

 

 

때문에 배당락 전날인 영업일 -2일에는 보통 주가가 올라가거나 괴리율이 올라가는 경우가 생기며,

배당락일에는 매도하는 사람들이 생겨 주가가 떨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되도록이면 배당락 전날에는 괴리율을 확인하며 매수하는 것이  좋다.

또한 당장의 배당금이 급하지 않으면 배당락에 매수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