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드 콜이란?
특정 자산을 매수하는 동시에, 해당 자산의 콜옵션을 매도하는 것이며,
특정 자산은 주식, 채권, 지수 등 다양하다.
콜옵션 매도란 특정 자산을 특정 값에 '살 수 있는 권리'를 파는 것.
예를 들어 현재 A 주식이 한 주에 1,000원이지만 미래에는 1,500원이 될지 500원이 될지 모른다.
이때 콜옵션 매도자가 'A 주식을 1,000원에 살 권리'를 팔라고 한다면,
이 권리를 100원의 프리미엄을 받고 팔라고 하는 것이다.
만약 A 주식이 1,000원 밑으로 떨어지면?
콜옵션 매도자는 100원의 프리미엄을 벌 수 있다.
반대로 A 주식이 1,000원 이상으로 오른다면?
손실은 무한이 되며, 매수자가 버는 만큼 잃게 되는 것이다
커보드콜의 원리는?
A : 주식을 매수하는 시나리오
B : 콜옵션을 매도하는 시나리오
*주식의 가격이 떨어진다면?
주식 매수(A) : 손실도 함께 증가한다.
콜옵션 매도 (B) : 콜옵션 매도자는 프리미엄 값만큼 벌 수 있다.
*주식의 가격이 오른다면?
주식 매수(A) : 이익도 함께 증가한다.
콜옵션 매도(B) : 손실도 함께 증가한다.
주식의 가격의 오르고 내림에 따라, A와 B의 방향이 완전히 반대로 움직인다.
따라서 A와 B의 전략을 함께 취하는 것을 커버드콜 전략이라고 한다.
쉽게 보면
'캐시'라는 사람이 콜옵션을 판매하는 사람이고
'플로'가 매수하려고 하는 사람이라고 가정해 보자
캐시 : 현재 가격이 1,000원인 A ETF을 한 달 뒤에 1,500원이 됐을 때 1,000원에 살 수 있는 증서(권리)를 팔게요~
대신 증서(권리)는 개당 100원이예요.
플로 : 100원으로 증서를 사면 한 달 뒤에 A ETF를 1,000원에 살 수 있다구요?
캐시 : 네 맞아요~
플로 : 그럼 10개 사서 1,000원 드릴게요 증서(권리) 10개 주세요~
캐시 : 네~1,000원 받고 증서(권리) 10개 드렸습니다.
한 달 후
경우 1. A ETF가 1,500원으로 올랐다.
플로 : 한 달 전에 구매한 증서 10개예요. 권리 행사해서 A ETF 1,000원에 10개 10,000원 매수할게요.
캐시 : 네 A ETF 10개 드릴게요.
이 경우 '플로' 현재가 1,500원 주식 10개를 15,000원이 아닌 10,000원에 매수+콜옵션 1,000원에 샀으니
총 11,000원에 A ETF 10개를 보유하게 되었다. 즉, 플로는 4,000원을 이득 본 것이다.
캐시의 경우 5,000원 이득을 볼 수 있었던 것을 증서(권리) 10개 비용인 1,000원만 이득을 본 것이다.
경우 2. A ETF가 500원으로 떨어졌다.
캐시 : 한 달 전에 A ETF를 1,000원에 살 수 있는 증서(권리) 10개를 구매하셨는데, 권리 행사해서 사실 건가요~?
플로 : 500원짜리를 누가 1,000원에 사요~ 안 살게요~
캐시 : 네 알겠습니다. 그럼 증서는 유효기간 만료로 폐기 처리하겠습니다.
플로 : 네~
이 경우 500원인 ETF를 1,000원에 살 필요가 없기 때문에 '플로'는 살 수 있는 권리를 행사하지 않았다.
즉 플로는 한 달 전에 구입한 권리인 증서 10개인 1,000원만 날린 것이다.
캐시의 경우는 주식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확정 손실은 없지만 판매한 증서 10개 비용인 1,000원을 이득 본 셈이다.
이러한 전략으로 고배당 ETF가 탄생하는 것이다.
커버드콜 장점 :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낮은 횡보장이나 하락장도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주가가 옵션 프리미언 한도 내에서 움직인다면 이로 인한 수익이 더 해져 전체적인 수익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월배당ETF의 경우 안정적으로 비교적 많은 배당금(분배금)을 받을 수 있다.
프리미엄 비용으로 인해 주가 하락에 대한 방어가 상대적으로 좋다.
커버드콜 단점: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큰 경우 내가 얻을 수 있는 수익이 정해져 있다.
가격의 상한선은 있지만 하한선은 없다.
(위의 예시처럼 1,000원짜리 ETF가 10,000원이 돼도 1,000원에 판매해야 함.
반면 1,000원이 10원이 된다면 가격은 떨어진 채로 보유하고 프리미엄 비용만큼만 수익.)
커버드콜 ETF 인지 아닌지 확인하는 방법
보통 ETF 이름에서 알 수 있다.
+5%, +7%, +10% 프리미엄, 커버드콜과 같은 이름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JEPI
TIGER 미국배당+7%프리미언다우존스
ACE 미국반도체15%프리미엄분배(합성)
KODEX미국30년국채+12%프리미엄(합성H)
등이다.
보통 커버드콜 ETF의 경우 다른 ETF에 비해 더 많은 배당금(분배금)을 준다.
당장 많은 현금 흐름이 필요하다면 커버드콜 상품이 유리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본다면 커버드콜 상품이 아닌 일반 상품이 주가 상승과 배당금 면에서 더 유리할 수 있다.
'자료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한국판 SCHD란 무엇인가? (0) | 2024.08.20 |
---|---|
[ETF] SCHD란 어떤 ETF인가? (1) | 2024.08.13 |
[ETF] 배당락, 배당기준일은? (2) | 2024.07.24 |
[연저펀] 연금 수령 시 인출 순위는? (feat. 연금 수령 시 내가 갖고 있는 ETF를 매도해야 하나?) (1) | 2024.07.22 |
[ETF] ETF 지식_배당률, 배당성향, 배당성장률 (2) | 2024.07.17 |